[뉴스초점] 집회발 'n차 감염' 지속…일상 곳곳 확산<br /><br /><br />신규 확진자가 168명을 기록하면서 사흘째 100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확산세가 다소 주춤하는 양상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전국 곳곳에서 산발적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불안한 상황은 지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이틀 연속 아슬아슬하게 100명대를 유지했던데 반해 어제 신규 확진자는 168명을 기록하면서 하루 만에 30명가량 줄어든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여전히 불안한 상황입니다만, 사회적 거리두기가 효과를 보고 있다고 봐도 되겠습니까?<br /><br /> 우려스러운 건 최초 감염경로가 신속하게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겁니다. 구로구 아파트에 대한 역학조사를 비롯해 양천구 탁구장발로 퍼진 집단감염 역시 최초 확진자의 경로가 여전히 오리무중인데요. 때문에 역학조사가 어쩔 수 없는 한계에 직면했다는 지적도 나오거든요?<br /><br /> 정부가 당초 내일까지였던 수도권의 '사회적 거리두기' 2.5단계를 1주일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. 또 전국에 시행 중인 거리두기 2단계도 2주간 더 연장해 20일까지 유지할 방침인데요. 재확산의 기세를 확실하게 잡겠다는 취지라고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2.5단계 조치가 연장되면서 카페와 학원에 내려진 조치가 일부 강화돼 영업제한 대상이 확대됐는데요.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더욱 강화됐는지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정부는 거리두기 연장 조치가 시행되는 동안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면 단계를 조정한다는 방침인데요. 구체적으로 몇 명 정도 돼야 재확산의 기세를 잡은 거라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그럼 구체적인 집단감염 사례들을 짚어보겠습니다. 광화문집회발 새로운 집단감염이 계속되고 있는데요. 특히 대구 동충하초 사업설명회 집단감염이 심상치 않습니다. 전국 각지에서 온 참가자들에게로 번진 것은 물론 n차 감염자도 발생했는데요. 이 사례는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병원 감염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확진 받은데 이어 화성시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중환자실 간호사도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요. 병원은 특히 고위험 환자들이 모여있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스러운데요?<br /><br /> 그런데 앞서 집단감염이 발생했던 서울 혜민병원이 서울시로부터 고발을 당했습니다. 집단감염이 우려됨에 따라 시설 내 임시폐쇄와 격리 조치를 내렸음에도 혜민병원이 이를 어겼다는 게 고발 이유인데요. 어쩌다 고발까지 하게 된 건가요? 격리조치 위반이 위험한 이유, 다시 짚어볼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요?<br /><br /> 최근 서울에선 아찔한 일도 있었습니다.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여성들만 골라 침을 뱉고 도주한 2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고 하는데요. 피해자 중엔 임신부도 있었다고 하던데, 다행히 음성이 나왔습니다만 결국 구속영장을 신청했어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